지식산업센터, 오피스

덕은지구 지식기반산업시설 <업무4 블록> 및 고양덕은 도시개발사업

esperanto 2019. 5. 30. 20:59

덕은지구 지식기반산업시설 <업무4 블록> 및 고양덕은 도시개발사업

 

 

출처: 국토교통부

 


출처: 택지정보시스템_고양덕은
고양덕은지구 토지사용 시기

 

 


고양덕은지구_공급 계획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경기 고양시 덕은구 옛 국방대 부지를

2021년까지 건설업체에 공동주택 용지로 공급하고, 2025년까지 2400가구 규모 아파트를 일반 분양할 계획

 

 

 

via hjp1128

 

좌측 노을공원. 2019.05

 

 

 

고양덕은지구: 업무4 블록 

이와 관련한 정보를 미리 받으실 분은 아래 URL 접속 바랍니다

 

http://naver.me/xogzC2YW

 

덕은지구 사전입주의향서: 지식기반산업 시설 [업무4 블럭]

사 업 명 : 고양덕은지구 업무시설[업무4] 위 치 : 경기도 고양시 덕은도시개발사업지구내 업무4 블럭 지 구 : 지구단위계획구역 용 도 : 업무시설, 근린생활시설 대지면적 : 8,187㎡ (2,476.56평) 건축면적 : 4.050㎡ (1,225.13평) 연 면 적 : 89,420.26㎡ (27,049.63평) 건 폐 율 : 60% 이하 용 적 률 : 700% 이하 (고도제한 100m 이하) 건축규모 : 지하 5층, 지상 22층 주차대수 : 935대 (

form.office.naver.com

출처: 고양시. 교통건설국 교통정책과. 2018.05

 

장래 추진예정 철도사업의 계획 타당성 검토
가. 우리 시 추진 예정 철도사업에 대한 계획 타당성 검토 [관련 사업내용 반영]

나. 도시기본계획, 도시교통정비계획 및 인근 지자체의 철도망 구축 계획 등을 포함하여

교통수요 측면, 기술적 측면, 경제적 측면, 향후 교통 연계 측면을 고려한 철도망 구축 계획 타당성 검토
다. 친환경 신교통수단(트램, 바이모달 등)의 국내‧외 도입 적용사례를 조사하고 북한산 문화관광특구와 삼송‧원흥‧향동 택지지구를 연계한 신교통수단 도입 계획 타당성 및 경제성을 검토하여 향후 사업 추진방향 제시
※ 상기 과업 중 발주청 요구에 따른 추가적 노선계획 검토 수행할 수 있음.

 

5. 철도교통망 구축 계획의 대안 노선 제시
가. 도시 및 지역교통난 해소, 타 교통수단과의 상호연계성, 지역개발의 형평성 도모, 광역, 도시철도 교통권역 구축 등에 부합할 수 있 최적 대안 노선 제시
나. 작성된 노선 대안에 대하여는 대안별 수송수요(시행 시/미 시행 시로 구분하여, 노선 대안별 수송수요와 수송효율)를 분석 예측하고 정거장 위치계획, 차량기지 계획, 철도차량 시스템 계획, 열차 운영계획, 공정계획 등을 포함한 기술적 검토 실시
※ 노선계획은 1/25000 Scale 도면상에 개략노선으로 표시하며 기술적 검토가 필요한 주요구간의 노선은 보다 상세한 도면(1/5000)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반영해야함.
다. 대안 노선은 교통 효율성, 경제성, 지역개발 직‧간접 효과 및 환경 문제 등의 항목을 고려하여 최종 평가 실시

 

6. 교통수요 추정 및 분석
가. 기존 교통지구별 발생ㆍ도착 통행량, 기ㆍ종점통행량에 대한 세부사항과 철도 및 주요 도로간 소통여건에 관한 사항 예측
나. 교통수요의 예측을 위해 일반적인 교통수요예측 4단계 모형을 적용하며, 단계별(통행발생, 통행분포, 교통수단분담, 통행배정)사용 할 수요 예측 모형은 통행실태조사 자료 등을 활용하여 고양시의 철도 및 도로여건, 장래 개발계획 등을 감안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수요 모형 값을 각각 도출하고, 도출 값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
다. 교통수요 예측 4단계 방법을 통해 분석되는 전망 내용은 다음 내용 포함
    1) 분석에 사용되는 각종자료(O/D(Origin-Destination 기종점분석 및 network등)에 대한 적합성 검토 결과
    2) 통행량 : 목표연도 별 총통행량, 목적별․수단별 통행량
    3) 교통지구의 발생ㆍ도착통행량 : 목표년도의 지구별 목적ㆍ수단통행량
    4) 기ㆍ종점 통행량 : 목표년도의 목적별ㆍ수단별 O/D표 작성
    5) 주요 철도 및 도로교통 소통여건 분석 : 중간년도 및 목표년도의 소통여건 예측 분석
    6) 교통수단별 통행량을 분석하여 철도망 구축으로 인한 교통수단 분담률 변화를 노선 대안별로 분석한 장래 교통수요 예측
라. 교통 수송수요 추정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다 수요 반영 등) 분석을 통해 현 과업 수행 개선사항 검토

 

7. 경제적‧재무적 타당성 등 검토
가. 사업시행 적정성을 판단하고 계획노선 및 대안노선별 수송수요, 건설 비용 예측, 운영비용 예측 등을 통하여 경제적 타당성(비용/편익비(B/C), 내부수익율(IRR), 순현재가치(NPV), 수익성 지수(PI) 등), 재무적 타당성 분석 실시
나. 건설비용, 편익 변화 등 장래 불확실 영향 인자들에 대한 민감도 분석 실시
다. 우리 시에서 기 수행한 철도관련 과업(노선 신설 타당성, 노선 연장에 따른 역사추가, 기존선 내 중간역사 추가 등)을 참고하여 경제성 분석 관련 지표를 본 과업에 부합하도록 한 현행화 검토실시

 

8. 철도교통망 구축계획 구상에 따른 교통 연계 효율화 방안 제시
가. 우리 시 철도교통망 구축계획 구상과 함께 지역 별 교통난 해소, 교통이용 편의성 확보, 교통수단별 위계 및 기능부여에 기초한 연계 효율화 방안 분석 (버스‧택시 등 기존 교통망, 환승역사 입지를 고려한 복합 환승센터 조성 계획 연계 고려)
나. 대중교통 지향형 개발방식(TOD: Transit-Oriented-Development)이 적용된 국내‧외 도시교통 개발 사례를 검토하여 철도교통 및 기존 대중교통간의 효율적 연계방안과 어우르는 공간효율적인 교통수단 중심 도시발전 전략방안 구상
※ TOD(Transit-Oriented-Development:대중교통 지향형 개발이론) : 대중교통과 토지이용을 연계하여 대중교통 중심의 고밀개발을 유도하는 도시개발 방식

 

9. 철도교통 구축 효율화 방안 제시에 따른 사업추진 우선순위 결정 및 정책적 제언 활성화
가. 연계 효율화 분석 안에 기초한 장래 사업추진 우선순위 선정
나. 철도사업의 시행주체가 총 건설비용 및 운영비 투자에 따른 사업시행 효과를 분석하여 투자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최적 재원조달 방안 수립 제시
다. 국가, 지방 철도정책 시책 활성화를 위한 우리시의 제언 전략방안을 강구하여 주도 정책의 신뢰성 및 당위성 확보

출처: 미래철도DB. 원종홍대입구